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95

[로드나인] 노트북에서 응담없음 + 유니티 팅김 현상 해결 방법 정리 PC 에서는 팅긴 적이 거의 손에 꼽는데 노트북에서 자주 팅겼음 유니티 에러가 나오면서  마을로 진입하거나 사람 많은 곳을 가거나 하면 자주 팅겼음  처음에는 프레임을 60으로 하고 최대한 그래픽 설정을 낮음이나 끔으로 설정하고 했음 화면 표시 유저도 10으로 낮게 설정함 조금 나아지기는 했지만 완전히 잡지는 못했음  윈도우 업데이트를 해도 크게 변화는 없었음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최신으로 자주 업데이트 해서 이건 아닐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결국 드라이버 문제였음  3DP Chip 3DP Chip 으로 모든 드라이버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고 재부팅을 하니  응답없음이나 유니티 에러가 사라졌음  PC에서 할 때는 크게 문제 없었는데 노트북은 윈도우 재설치를 하고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업데이트 한다고 했는데.. 2025. 4. 4.
[로드나인] 8개 히든 직업 어빌리티 구성 및 600~800레벨 효과 정리 1. 검성어빌리티: 날카로운 무기, 무기 연마, 어둠의 무기, 어둠의 힘, 결계 형성, 빛의 무기직업 스킬: 기본 공격 시 25% 확률로 추가 혼합 피해 적용레벨별 효과Lv.100: 근거리 방어 관통 +50Lv.200: 이동 속도 +8%Lv.300: 공격 속도 +8%Lv.400: 공격력 +70Lv.500: 근접 공격력 +50 / 모든 피해 +3.5%Lv.600: 피격 시 10초 동안 3회에 걸쳐 받는 피해 30% 감소Lv.700: 방어력 +100Lv.800: 대상에게 250% + 250% 혼합 피해 / MP & 스태미나 25% 감소  2. 고대 수호자어빌리티: 방어 태세, 무기 연마, 시간 가속, 빛의 무기, 대지 충격, 번개 정령직업 스킬: 기본 공격 시 모든 피해 및 몬스터 대상 피해 증가 (최대 2.. 2025. 3. 19.
[로드나인] 확정 소환 픽업 영웅 무기 별 순서 신영웅은 해당 무기 마스터리의 공속10% 를 줌 로테이션 기존과 같은 순서로 돌고 있어서 참고용으로 보면 됨 확정 소환 순서 활 > 지팡이 > 단검 > 석궁 > 검방 > 대검 > 전투봉 > 전투방패 > 맨손 2024. 12. 27.
로드나인 리세마라 하는 방법 : 획득 재화, 스펙 1. 리세마라를 해야 하는 이유로드나인에서 리세마라는 일정 시간 투자로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입니다.효율적인 스펙업: 3시간 반을 투자해 리세마라를 통해 얻는 보상이 상당히 많습니다. 특정 레벨 구간에서는 추가적인 스펙업이 어렵기 때문에, 리세마라로 보유 자원을 늘리고 내실을 다지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리소스 확보: 리세마라를 통해 귀중한 장비와 재화를 얻을 수 있어 캐릭터 육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전설 장비나 고급 재료를 획득할 가능성이 있다면 그 시간은 충분히 투자 가치가 있습니다.  2. 리세마라란?리세마라는 부캐릭터를 육성하여 시련의 탑 보상을 획득한 뒤 캐릭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부캐릭터를 50레벨까지 육성.시련의 탑 88층 클리.. 2024. 12. 24.
[로드나인] 히든 직업 불멸의 기사 : 어빌리티 능력치 불멸의 기사 어빌리티  액티브 : 파괴의 무기패시브 : 화염 정령  액티브 : 생기 흡수패시브 : 영혼 베기   액티브 : 약점 분석패시브 : 점멸  불멸의 기사 능력치기본 능력치 : 불멸 불사 : HP 10% 이하에서 피해 면역 상태불사 종료 시 HP 30% 회복  어빌리티 레벨 능력치  100 레벨 : 방어관통 +50200 레벨 : 이동속도 +8%300 레벨 : 공격속도 +8%400 레벨 : 공격력 +70500레벨 : 공격력 +75 , 받는 피해 감소 3.5% 2024. 12. 20.
중국과 중동의 증설로 위기를 맞은 K-석유화학의 스페셜티 제품 개발 현황 최근 한국 석유화학 업계는 중국과 중동의 저가 대량생산 경쟁에 직면하면서, 범용 제품의 한계를 넘어선 스페셜티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시장 환경에 적응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국 석유화학 업계의 위기와 대응 배경범용 제품의 경쟁력 약화: 에틸렌,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범용 제품 시장에서 중국과 중동의 대규모 증설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었다.중국: 글로벌 에틸렌 증설의 50~60% 차지, 저가 노동력과 대량생산 시스템 기반.중동: COTC(정유·석유화학 통합시설) 도입으로 한국 대비 3분의 1 수준의 생산 비용 실현.스페셜티로의 전환 필요성: 범용 제품의 한계를 넘어, 반도체, 전기차, 드.. 2024.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