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1100

DB하이텍 KCGI 강성부 펀드 지분 매입 7.05%, 한진칼 지분 경쟁에서는 어땠을까? (ft. 공매도 + 지분 구조) KCGI 가 캐로파홀딩스를 통해 동부하이텍 지분 7.05%를 인수 했습니다. 공시를 보면 92만주의 지분 매입 평균가는 62297원이고 이전에 매입한 220만주는 5만원 부근으로 추측됩니다. 대략적으로 지분 매입 평단가는 5만원 초중반 즘 될 것으로 보입니다. 동부하이텍은 대주주 지분이 낮고, 낮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기 때문에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 대상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에서 가장 큰 상승동력인 지분 경쟁인데, 일단 지분 매입목적을 일반 투자가 아닌 경영권 영향력 목적으로 밝혔기 때문에 앞으로 지분 경쟁으로 갈 지, 행동주의로 주주가치 증대를 목적 방향으로 갈 지에 따라 주가 흐름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은 손에 쥔 카드를 다 보여주지는 않은 상황 입니다. 경영권 목적인지 주주 가.. 2023. 3. 31.
TYM 분식회계 허위매출 의혹 제기(내부 고발 기사), 지분 다툼의 신호탄일까? TYM 의 허위매출과 분식회계 의혹을 다루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신빙성 여부는 워낙 작은 신문사여서 확신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메이저 언론사도 아니고 검색도 어려운 기사를 친절히 네이버 종목토론방에 올린 것도 수상해보입니다. 결국 내부자 고발 건으로 볼 수 있는데 감사보고서 제출이 끝난 상황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크로스 체크로 농기계 경쟁 업체인 대동의 경우와 비교해 보더라도 2021년에서 2022년 매출과 영업이익 개선이 이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사에서 주장하는 것은 국내 매출이지만, 해외 비중이 높은 사업구조에서 신빙성을 같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최근 마약 및 영상 스캔들에 이어 허위매출 분식 회계 내부 고발 기사까지 내부를 흔드는 사건이 줄지어 나오는 것은 개인적으.. 2023. 3. 30.
마이크론 감산과 메모리 업계의 공급 과잉, 삼성전자의 선택은? 마이크론이 감산 의사를 내비치면서 메모리 업계의 공급과잉 해결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결국 내심 한국 업체들이 같이 감산을 하기를 원하는 모습 입니다. 비트 수요 증가세가 줄고 빅테크 기업들이 고금리와 불경기 영향으로 투자를 주저하는 상황 입니다. 메모리 업체들은 재고가 쌓여가고 있는 상황 입니다. 이는 재무재표를 보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가격이 떨어지면서 메모리 업체들도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내보내기 보다는 재고를 비축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고객들은 기존 재고로 버티면서 추가 구매에는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물론 예전과 달리 메모리 업계의 자산 특히 현금성 자산이 충분하고 부채비율도 높지 않아 재무 건전성은 충분해 보입니다. 확실히 가장 급한 .. 2023. 3. 30.
JOLED 파산과 LG 디스플레이 1조원 차입(LG전자), 디스플레이 산업 반등 시그널? JOLED 가 파산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디스플레이 업계가 바닥을 치고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기고 있습니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계의 공세에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시장에서 도태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맞춰 엘지 디스플레이는 모기업인 엘지 전자로 부터 1조원을 차입하면서 재무적인 안정성을 높인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이 매출이 규모가 큰 만큼 CAPEX 가 크기 때문에, 기술력에 밀리거나 자금력에서 밀리면 치킨게임에서 이길 수 없는 구조 입니다. 엘지 디스플레이만 봐도21년의 1.3조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낸 해를 제외하면 대규모 투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사업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LG그룹의 우산이 아니었다면 견디기 아마 힘들었을 듯 합니다. 삼성 디스플레이만이 소.. 2023. 3. 29.
미세 먼지 앱 추천 - 미세미세 (feat. WHO 기준) 최근 미세먼지가 한국을 뒤덮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미세먼지를 체크해서 외출계획을 잡는 편 입니다. 미세먼지가 악화된 날에는 산책이나 외부활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전에는 보통 네이버 앱에서 날씨를 확인하고는 했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정확하지 않은 것 같아서 조사해봤더니 국내 미세먼지 기준과 더 타이트한 WHO 기준이 달라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WHO 기준으로 미세먼지 정보를 확인해주는 미세미세라는 어플을 찾아서 사용해봤는데, 지역 설정과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시간대별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이 좋았습니다. 연간 평균 15㎍/㎥ 이하, 24시간 평균 45㎍/㎥ 이하로 강화했다. 기존 가이드라인 : 연간 평균 20㎍/㎥, 24시간 평균 50㎍/㎥ 이하였다. 연간 평균 5㎍/㎥ 이하, 24시간.. 2023. 3. 29.
네이버 멤버쉽 패밀리 계정(최대 3인), 추가 적립 가능 혜택은 얼마까지? 네이버 멤버쉽이 패밀리 계정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패밀리 계정은 최대 3명 까지 가능하고, 주요 혜택은 적립금이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이외에도 쿠폰이나 컨텐츠 등이 있지만 네이버 멤버쉽을 쓰는 가장 큰 이유는 적립입니다. 월간 기준으로 20만원 구간 까지는 1% + 추가 4% 적립 (8000원 혜택) 20~300만원 구간까지는 1% + 추가 1% 적립(28000원 혜택) 멤버쉽으로 300만원 소비를 할 경우 3만 6000원 추가 적립 혜택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최대 3명 기준으로 10만 8000원 패밀리 계정으로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소비를 네이버 중심으로 한다면 네이버 멤버쉽으로 은근 짭짤하게 적립 혜택을 누릴 수 있어 보입니다. 2023.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