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02

옵티미스틱 & ZK Rollups 레이어2 코인 시총 Top 5 (ft. 업비트 아비트럼 원화상장) 순위 코인 시가 총액(23년 3/30 기준) 1위 폴리곤 12조 8000억원 2위 아비트럼 2조 2000억원 3위 비트다오 1조 4000억원 4위 옵티미즘 9000억원 5위 미나 프로토콜 8500억원 업비트에 아비트럼이 3/30 15:00 에 상장했습니다. 최근 레이어2 솔루션과 옵티미미스틱과 Zk Rollups 기술을 이용하는 코인들이 상승세를 타고 있었습니다. 아비트럼은 레이어2 대장격인 폴리콘 대비 시총이 1/5 수준으로 앞으로 프로젝트가 확장되는 수준에 따라 성장 가능성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미세고 세럼과 같은 코인들이 유의 지정 및 상폐로 가는 것과 반대로 알트코인 자체가 고점에 물린 시체가 없는 신규 프로젝트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루는 트렌드에 따라 기술력 있는 신생 프로젝트들은 반사적.. 2023. 3. 31.
IPO 이전에 SK온(SK이노베이션 배터리 자회사)에 투자하는 방법은? 고금리에 성장주가 힘을 못 쓰지만 2차전지주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엘지엔솔, 삼성에스디아이 등 종합 배터리 회사의 주가는 제로 금리 시절 고점에서 크게 밀리지 않고 선방하고 있고, 양극재 음극재 동박 등 소재 업체 대표적으로 에코프로 엘엔에프 오히려 3배이상의 상승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배터리 업체에 대한 관심이 높고 아직 상승하지 않았거나 상장하지 않은 배터리 주식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이와 같은 니즈를 반영하듯이 SK이노베이션은 SK온 주식을 공개매수를 통해 향후 시총 10% 수준에서 배다하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공시했습니다. 자회사의 상장으로 디스카운트 되서 아쉬운 점도 있지만 그나마 차선의 선택인 것 같습니다. 이노베이션 입장에서는 향후 필요한 막대한 투.. 2023. 3. 31.
DB하이텍 KCGI 강성부 펀드 지분 매입 7.05%, 한진칼 지분 경쟁에서는 어땠을까? (ft. 공매도 + 지분 구조) KCGI 가 캐로파홀딩스를 통해 동부하이텍 지분 7.05%를 인수 했습니다. 공시를 보면 92만주의 지분 매입 평균가는 62297원이고 이전에 매입한 220만주는 5만원 부근으로 추측됩니다. 대략적으로 지분 매입 평단가는 5만원 초중반 즘 될 것으로 보입니다. 동부하이텍은 대주주 지분이 낮고, 낮은 밸류에이션을 받고 있기 때문에 행동주의 펀드의 공격 대상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에서 가장 큰 상승동력인 지분 경쟁인데, 일단 지분 매입목적을 일반 투자가 아닌 경영권 영향력 목적으로 밝혔기 때문에 앞으로 지분 경쟁으로 갈 지, 행동주의로 주주가치 증대를 목적 방향으로 갈 지에 따라 주가 흐름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은 손에 쥔 카드를 다 보여주지는 않은 상황 입니다. 경영권 목적인지 주주 가.. 2023. 3. 31.
TYM 분식회계 허위매출 의혹 제기(내부 고발 기사), 지분 다툼의 신호탄일까? TYM 의 허위매출과 분식회계 의혹을 다루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신빙성 여부는 워낙 작은 신문사여서 확신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메이저 언론사도 아니고 검색도 어려운 기사를 친절히 네이버 종목토론방에 올린 것도 수상해보입니다. 결국 내부자 고발 건으로 볼 수 있는데 감사보고서 제출이 끝난 상황에서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크로스 체크로 농기계 경쟁 업체인 대동의 경우와 비교해 보더라도 2021년에서 2022년 매출과 영업이익 개선이 이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사에서 주장하는 것은 국내 매출이지만, 해외 비중이 높은 사업구조에서 신빙성을 같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최근 마약 및 영상 스캔들에 이어 허위매출 분식 회계 내부 고발 기사까지 내부를 흔드는 사건이 줄지어 나오는 것은 개인적으.. 2023. 3. 30.
마이크론 감산과 메모리 업계의 공급 과잉, 삼성전자의 선택은? 마이크론이 감산 의사를 내비치면서 메모리 업계의 공급과잉 해결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결국 내심 한국 업체들이 같이 감산을 하기를 원하는 모습 입니다. 비트 수요 증가세가 줄고 빅테크 기업들이 고금리와 불경기 영향으로 투자를 주저하는 상황 입니다. 메모리 업체들은 재고가 쌓여가고 있는 상황 입니다. 이는 재무재표를 보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가격이 떨어지면서 메모리 업체들도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내보내기 보다는 재고를 비축하고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고객들은 기존 재고로 버티면서 추가 구매에는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물론 예전과 달리 메모리 업계의 자산 특히 현금성 자산이 충분하고 부채비율도 높지 않아 재무 건전성은 충분해 보입니다. 확실히 가장 급한 .. 2023. 3. 30.
JOLED 파산과 LG 디스플레이 1조원 차입(LG전자), 디스플레이 산업 반등 시그널? JOLED 가 파산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디스플레이 업계가 바닥을 치고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기고 있습니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계의 공세에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면서 시장에서 도태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맞춰 엘지 디스플레이는 모기업인 엘지 전자로 부터 1조원을 차입하면서 재무적인 안정성을 높인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이 매출이 규모가 큰 만큼 CAPEX 가 크기 때문에, 기술력에 밀리거나 자금력에서 밀리면 치킨게임에서 이길 수 없는 구조 입니다. 엘지 디스플레이만 봐도21년의 1.3조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낸 해를 제외하면 대규모 투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사업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LG그룹의 우산이 아니었다면 견디기 아마 힘들었을 듯 합니다. 삼성 디스플레이만이 소.. 2023. 3. 29.
반응형